2016년 국민이전계정 - 국민 전체의 연령별 소비와 노동 소득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경제 활동 구조 파악
원문보기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aSeq=379134
- 담당자 변준석
- 담당부서 통계개발원 연구기획실
- 전화번호 042-366-7107
- 게시일 2019-12-09
- 조회 50
□ 국민이전계정은 국민 전체의 연령별 소비와 노동 소득에 대한 정보를 활용하여 경제 활동에 대한 흑자/적자 구조를 연령별로 파악해
내고, 동시에 이로부터 나타나는 노동 연령층(15~64세)의 잉여 자원이 유년층(0~14세)또는 노년층(65세이상)으로 어떻게 이전(transfer) 또는 재배분(reallocation)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
□ 생애주기적자 총량값은 전년 대비 1.6% 감소한 110.3조원임
º 전체 소비에 대한 총량값은 전년 대비 3.8% 증가한 952.4조원, 전체 노동 소득에 대한 총량값은 전년 대비 4.5% 증가한 842.1조원임
□ 1인당 생애주기적자 구조는 연령 증가에 따라 '적자->흑자->적자'가 차례로 발생하는 3단계 구조를 가짐
º 0세부터 26세까지는 소비가 노동 소득 보다 큰 '적자' 가 발생하고 있으며, 해당 연령대의 1인당 최대 생애주기적자는 16세에서
2,867만원임
º 27세부터 58세까지는 노동 소득이 소비 보다 큰 '흑자' 가 발생하고 있으며, 해당 연령대의 1인당 최대 생애주기흑자는 41세에서
1,435만원 임
º 59세부터는 1인당 생애주기적자가 연령 증가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함
□ 연령재배분 총량값은 생애주기적자 총량값과 동일함
º 공공 이전은 유년층에서 58조원 순유입, 노년층에서 54.8조원 순유입
º 민간 이전은 유년층에서 74.4조원 순유입, 노년층에서 19.6조원 순유입
º 공공 자산재배분 총량값은 73.1조원 순유출
º 민간 자산재배분 총량값은 188.6조원 순유입
내고, 동시에 이로부터 나타나는 노동 연령층(15~64세)의 잉여 자원이 유년층(0~14세)또는 노년층(65세이상)으로 어떻게 이전(transfer) 또는 재배분(reallocation) 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줌
□ 생애주기적자 총량값은 전년 대비 1.6% 감소한 110.3조원임
º 전체 소비에 대한 총량값은 전년 대비 3.8% 증가한 952.4조원, 전체 노동 소득에 대한 총량값은 전년 대비 4.5% 증가한 842.1조원임
□ 1인당 생애주기적자 구조는 연령 증가에 따라 '적자->흑자->적자'가 차례로 발생하는 3단계 구조를 가짐
º 0세부터 26세까지는 소비가 노동 소득 보다 큰 '적자' 가 발생하고 있으며, 해당 연령대의 1인당 최대 생애주기적자는 16세에서
2,867만원임
º 27세부터 58세까지는 노동 소득이 소비 보다 큰 '흑자' 가 발생하고 있으며, 해당 연령대의 1인당 최대 생애주기흑자는 41세에서
1,435만원 임
º 59세부터는 1인당 생애주기적자가 연령 증가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함
□ 연령재배분 총량값은 생애주기적자 총량값과 동일함
º 공공 이전은 유년층에서 58조원 순유입, 노년층에서 54.8조원 순유입
º 민간 이전은 유년층에서 74.4조원 순유입, 노년층에서 19.6조원 순유입
º 공공 자산재배분 총량값은 73.1조원 순유출
º 민간 자산재배분 총량값은 188.6조원 순유입
'재테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세 소득 정점 찍지만…59세부터 다시 '적자인생' (0) | 2019.12.09 |
---|---|
KDI 경제전망, 2019 하반기 - 내수와 수출의 개선이 제한적인 수준에 머물면서 2020년에 2.3% 내외의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임 (0) | 2019.12.09 |
돈 많이 버는 성격 따로있다…특성에 따른 소득 차이는? (0) | 2019.12.05 |
예금 있으면 기초연금 못 받는다? (0) | 2019.12.03 |
韓 경제 사실상 디플레이션 진입… `일본의 잃어버린 20년` 답습하나 (0) | 2019.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