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인구의 37.1%인 1,903만 명이 땅을 가지고 있다고?!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3년 토지소유현황 통계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3년 말 기준 토지소유현황 통계를 공표했습니다.
우리나라 전체 5,133만 명(주민등록인구) 중 토지를 보유한 인구는 ’22년 1,877만 명 대비 1.3% 증가한 1,903만 명으로 조사되었습니다.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 3열 선택3열 다음에 열 추가
- 4열 선택4열 다음에 열 추가
- 5열 선택5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 2행 선택2행 다음에 행 추가
< 개인 토지의 소유자 수 추이 >
|
(단위 : 만 명)
|
||||
구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
소유자 수
|
1,805
|
1,851
|
1,877
|
1,903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 3열 선택3열 다음에 열 추가
- 4열 선택4열 다음에 열 추가
- 5열 선택5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 2행 선택2행 다음에 행 추가
< 개인 토지의 소유면적 추이 >
|
(단위 : ㎢)
|
||||
구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
소유면적
|
46,398
|
46,445
(46,445.4) |
46,445
(46,444.9) |
46,224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세대별로는 총 2,391만 세대(주민등록 세대) 중 62.1%인 1,486만 세대가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 3열 선택3열 다음에 열 추가
- 4열 선택4열 다음에 열 추가
- 5열 선택5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 2행 선택2행 다음에 행 추가
< 개인 토지소유 세대수 추이 >
|
(단위 : 만 세대)
|
||||
구분
|
’20년
|
’21년
|
’22년
|
’23년
|
|
소유세대 수
|
1,413
|
1,449
|
1,470
|
1,486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연령별로는 60대(30.1%), 50대(21.8%), 70대(20.0%)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로는 남성 54.8%, 여성 45.2%로 나타났습니다.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 3열 선택3열 다음에 열 추가
- 4열 선택4열 다음에 열 추가
- 5열 선택5열 다음에 열 추가
- 6열 선택6열 다음에 열 추가
- 7열 선택7열 다음에 열 추가
- 8열 선택8열 다음에 열 추가
- 9열 선택9열 다음에 열 추가
- 10열 선택10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 2행 선택2행 다음에 행 추가
- 3행 선택3행 다음에 행 추가
- 4행 선택4행 다음에 행 추가
- 5행 선택5행 다음에 행 추가
- 6행 선택6행 다음에 행 추가
- 7행 선택7행 다음에 행 추가
- 8행 선택8행 다음에 행 추가
- 9행 선택9행 다음에 행 추가
< 개인의 연령별 토지소유 현황 >
|
(단위 : ㎢, %)
|
|||||||||
구분
|
계
|
20세미만
|
20대
|
30대
|
40대
|
50대
|
60대
|
70대
|
80세이상
|
|
’20년
|
45,398
|
109
|
473
|
1,718
|
5,142
|
10,860
|
13,195
|
9,097
|
5,803
|
|
(100.0)
|
(0.2)
|
(1.0)
|
(3.7)
|
(11.1)
|
(23.4)
|
(28.4)
|
(19.6)
|
(12.5)
|
||
’21년
|
46,445
|
115
|
476
|
1,648
|
4,946
|
10,559
|
13,730
|
8,946
|
6,024
|
|
(100.0)
|
(0.2)
|
(1.0)
|
(3.5)
|
(10.6)
|
(22.7)
|
(29.6)
|
(19.3)
|
(13.0)
|
||
’22년
|
46,445
|
117
|
456
|
1,554
|
4,744
|
10,283
|
13,871
|
9,069
|
6,352
|
|
(100.0)
|
(0.3)
|
(1.0)
|
(3.3)
|
(10.2)
|
(22.1)
|
(29.9)
|
(19.5)
|
(13.7)
|
||
’23년
|
46,224
|
112
|
422
|
1,459
|
4,457
|
10,060
|
13,909
|
9,263
|
6,542
|
|
(100.0)
|
(0.2)
|
(0.9)
|
(3.2)
|
(9.6)
|
(21.8)
|
(30.1)
|
(20.0)
|
(14.2)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개인의 연령별 토지소유 현황 비율 추이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가 46,224㎢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법인은 7,327㎢, 비법인(종중, 종교단체 등)은 7,818㎢로 나타났습니다.
개인소유 토지의 용도지역별 면적은 농림지역 22,563㎢(48.8%), 관리지역 14,464㎢(31.3%), 녹지지역 5,818㎢(12.6%) 순으로 나타났으며, ’22년 46,445㎢ 대비 0.5% 감소하였습니다.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 3열 선택3열 다음에 열 추가
- 4열 선택4열 다음에 열 추가
- 5열 선택5열 다음에 열 추가
- 6열 선택6열 다음에 열 추가
- 7열 선택7열 다음에 열 추가
- 8열 선택8열 다음에 열 추가
- 9열 선택9열 다음에 열 추가
- 10열 선택10열 다음에 열 추가
- 11열 선택11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 2행 선택2행 다음에 행 추가
- 3행 선택3행 다음에 행 추가
- 4행 선택4행 다음에 행 추가
- 5행 선택5행 다음에 행 추가
- 6행 선택6행 다음에 행 추가
- 7행 선택7행 다음에 행 추가
- 8행 선택8행 다음에 행 추가
- 9행 선택9행 다음에 행 추가
< 개인의 용도지역별 토지소유 현황 >
|
(단위 : ㎢, %)
|
||||||||||
구분
|
합계
|
주거 지역
|
상업 지역
|
공업 지역
|
녹지 지역
|
관리 지역
|
농림 지역
|
자연환경 보호
|
용도
미지정 |
기타
|
|
’20년
|
46,398
|
1,453
|
129
|
137
|
5,929
|
14,352
|
22,509
|
1,543
|
6
|
339
|
|
(100.0)
|
(3.1)
|
(0.3)
|
(0.3)
|
(12.8)
|
(30.9)
|
(48.5)
|
(3.3)
|
(0.0)
|
(0.7)
|
||
’21년
|
46,445
|
1,415
|
124
|
133
|
5,880
|
14,369
|
22,525
|
1,532
|
9
|
458
|
|
(100.0)
|
(3.0)
|
(0.3)
|
(0.3)
|
(12.7)
|
(30.9)
|
(48.5)
|
(3.3)
|
(0.0)
|
(1.0)
|
||
’22년
|
46,445
|
1,439
|
125
|
132
|
5,863
|
14,494
|
22,657
|
1,528
|
7
|
201
|
|
(100.0)
|
(3.1)
|
(0.3)
|
(0.3)
|
(12.6)
|
(31.2)
|
(48.8)
|
(3.3)
|
(0.0)
|
(0.4)
|
||
’23년
|
46,224
|
1,446
|
126
|
130
|
5,818
|
14,464
|
22,563
|
1,513
|
6
|
158
|
|
(100.0)
|
(3.1)
|
(0.3)
|
(0.3)
|
(12.6)
|
(31.3)
|
(48.8)
|
(3.3)
|
(0.0)
|
(0.3)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개인의 용도지역별 토지소유 면적 비율 추이
법인은 농림지역 2,361㎢(32.2%), 관리지역 1,999㎢(27.3%), 녹지지역 1,081㎢(14.8%), 순으로 나타났으며, ’22년 7,265㎢ 대비 0.8% 증가하였습니다.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 3열 선택3열 다음에 열 추가
- 4열 선택4열 다음에 열 추가
- 5열 선택5열 다음에 열 추가
- 6열 선택6열 다음에 열 추가
- 7열 선택7열 다음에 열 추가
- 8열 선택8열 다음에 열 추가
- 9열 선택9열 다음에 열 추가
- 10열 선택10열 다음에 열 추가
- 11열 선택11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 2행 선택2행 다음에 행 추가
- 3행 선택3행 다음에 행 추가
- 4행 선택4행 다음에 행 추가
- 5행 선택5행 다음에 행 추가
- 6행 선택6행 다음에 행 추가
- 7행 선택7행 다음에 행 추가
- 8행 선택8행 다음에 행 추가
- 9행 선택9행 다음에 행 추가
< 법인 토지의 용도지역별 현황 >
|
(단위 : ㎢, %)
|
||||||||||
구분
|
계
|
주거지역
|
상업지역
|
공업지역
|
녹지지역
|
관리지역
|
농림지역
|
자연환경
보호 |
용도
미지정 |
기타
|
|
’20년
|
6,965
|
336
|
66
|
688
|
1,037
|
1,856
|
2,221
|
230
|
23
|
507
|
|
(100.0)
|
(4.8)
|
(1.0)
|
(9.9)
|
(14.9)
|
(26.7)
|
(31.9)
|
(3.3)
|
(0.3)
|
(7.3)
|
||
’21년
|
7,087
|
341
|
69
|
694
|
1,070
|
1,895
|
2,264
|
223
|
17
|
514
|
|
(100.0)
|
(4.8)
|
(1.0)
|
(9.8)
|
(15.1)
|
(26.7)
|
(31.9)
|
(3.2)
|
(0.2)
|
(7.3)
|
||
’22년
|
7,265
|
381
|
76
|
721
|
1,097
|
1,970
|
2,330
|
228
|
25
|
439
|
|
(100.0)
|
(5.2)
|
(1.0)
|
(9.9)
|
(15.1)
|
(27.1)
|
(32.1)
|
(3.1)
|
(0.3)
|
(6.0)
|
||
’23년
|
7,327
|
384
|
75
|
722
|
1,081
|
1,999
|
2,361
|
237
|
24
|
443
|
|
(100.0)
|
(5.2)
|
(1.0)
|
(9.9)
|
(14.8)
|
(27.3)
|
(32.2)
|
(3.2)
|
(0.3)
|
(6.0)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법인 토지의 용도지역별 비율 추이
비법인은 농림지역 4,442㎢(56.8%), 관리지역 1,714㎢(21.9%) 녹지지역 930㎢(11.9%), 순으로 나타났으며, ’22년 7,817㎢ 대비 1㎢ 증가하였습니다.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1열 선택1열 다음에 열 추가
- 2열 선택2열 다음에 열 추가
- 3열 선택3열 다음에 열 추가
- 4열 선택4열 다음에 열 추가
- 5열 선택5열 다음에 열 추가
- 6열 선택6열 다음에 열 추가
- 7열 선택7열 다음에 열 추가
- 8열 선택8열 다음에 열 추가
- 9열 선택9열 다음에 열 추가
- 10열 선택10열 다음에 열 추가
- 11열 선택11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 1행 선택1행 다음에 행 추가
- 2행 선택2행 다음에 행 추가
- 3행 선택3행 다음에 행 추가
- 4행 선택4행 다음에 행 추가
- 5행 선택5행 다음에 행 추가
- 6행 선택6행 다음에 행 추가
- 7행 선택7행 다음에 행 추가
- 8행 선택8행 다음에 행 추가
- 9행 선택9행 다음에 행 추가
< 비법인 토지의 용도지역별 현황 >
|
(단위 : ㎢, %)
|
||||||||||
구분
|
계
|
주거지역
|
상업지역
|
공업지역
|
녹지지역
|
관리지역
|
농림지역
|
자연환경
보호 |
용도
미지정 |
기타
|
|
’20년
|
7,754
|
44
|
3
|
6
|
929
|
1,701
|
4,368
|
651
|
1
|
50
|
|
(100.0)
|
(0.6)
|
(0.0)
|
(0.1)
|
(12.0)
|
(21.9)
|
(56.3)
|
(8.4)
|
(0.0)
|
(0.6)
|
||
’21년
|
7,783
|
46
|
3
|
6
|
931
|
1,697
|
4,399
|
647
|
1
|
54
|
|
(100.0)
|
(0.6)
|
(0.0)
|
(0.1)
|
(12.0)
|
(21.8)
|
(56.5)
|
(8.3)
|
(0.0)
|
(0.7)
|
||
’22년
|
7,817
|
47
|
3
|
7
|
931
|
1,709
|
4,440
|
654
|
1
|
26
|
|
(100.0)
|
(0.6)
|
(0.0)
|
(0.1)
|
(11.9)
|
(21.9)
|
(56.8)
|
(8.4)
|
(0.0)
|
(0.3)
|
||
’23년
|
7,818
|
47
|
3
|
6
|
930
|
1,714
|
4,442
|
656
|
1
|
20
|
|
(100.0)
|
(0.6)
|
(0.0)
|
(0.1)
|
(11.9)
|
(21.9)
|
(56.8)
|
(8.4)
|
(0.0)
|
(0.3)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비법인 토지의 용도지역별 비율 추이
전국 지방자치단체에서 등록한 지적전산자료를 기초로 작성한 토지소유현황 통계는 부동산 정책 및 학술연구자료 등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23년 토지소유현황 통계 상세자료는 7월 18일부터 국토교통부 통계누리(stat.molit.go.kr),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다.
📌보도자료 원문보기
- 0열 선택0열 다음에 열 추가
- 0행 선택0행 다음에 행 추가
240718(석간) 23년 토지소유현황 통계(국가공간정보센터) (1).hwp
[출처] 전체 인구의 37.1%인 1,903만 명이 땅을 가지고 있다고?!|작성자 국토교통부 |
- 셀 병합
- 행 분할
- 열 분할
- 너비 맞춤
- 삭제
'부동산 소식 상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시, 대장홍대선 청라·계양TV 연장 ‘투 트랙’ 추진 (0) | 2024.07.20 |
---|---|
"부동산시장 과열 아냐"…수도권 23.6만호(분양)+2만호(신규택지), 공공매입임대 12만호+1만호 공급 (0) | 2024.07.19 |
"오른다" vs"박스권" vs"불확실"… 혼돈 속 서울 아파트 가격 전망[서울 집값 어디로]② (0) | 2024.07.18 |
LH, 동탄터널 상부를 '축구장 12배' 공원으로…2026년 완공 (0) | 2024.07.18 |
“무슨 법이 이래요?”...보증금 7124억 ‘먹튀’한 임대인 67명 여전히 임대사업 (0) | 2024.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