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촌자경 농지에 대한 양도소득세의 감면
8년이상 재촌자경 양도세 감면
* 재촌이란?
거주요건- 새 농지 소재지에 거주
면적·가액- 취득 농지면적, 양도농지의 3분의 2 이상돼야 감면대상
자경개시- 양도 후 1년내 새농지 취득 취득일부터 1년내 재촌경작
감면세액 한도- 연간1억원·5년간 합 1억원
“농지대토의 경우 양도세 감면을 위해서는 우선 기존 농지를 중단 없이 4년 이상 경작해야 한다.
또 새로 취득한 농지의 소재지에 살아야 한다.
이런 조건을 충족하면서 경작기간의 합이 8년을 넘어야 비로소 농지대토에 대한 양도세 감면이 가능하다”
만일 이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면 감면받은 양도소득세를 추징당하게 된다.
- 다만 농지를 새로 취득한 후 4년이 채 되지 않아 협의매수(토지소유자와 협의해 국가·지방자치단체 등이 토지를 사들이는 것)나 수용되는 경우라면 예외적으로 4년간 재촌자경한 것으로 인정해준다.
- 농지소유자가 농지대토로 인한 합산기간이 8년이 채 되지 않았는데 사망한다면 양도세를 감면받을 수 있을까. 상속인이 해당 농지 소재지에 살면서 계속 경작해 8년을 채우면(상속인과 피상속인의 경작기간 통산) 역시 양도세 감면 혜택을 받을 수 있다.
- 반면 위탁경영·대리경작 중인 농지는 감면 규정을 적용받을 수 없다. 여기서 말하는 경작은 자경(소유농지에서 농작물의 경작에 상시 종사하거나 농작업의 2분의 1 이상 자기 노동력을 투입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농업 외 수입으로 간주되는 사업소득·근로소득의 합산액이 3700만원을 넘어가는 과세기간은 자경기간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새 농지에 대한 취득·경작시점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기존 농지를 양도하고 난 후 1년 이내에 새로운 농지를 취득하고, 취득한 날로부터 다시 1년 안에 새로운 농지 소재지에 거주하면서 경작을 시작해야 한다.
- 취득시점이 양도시점을 앞서는 경우도 비슷하다. 새 농지를 취득하고 난 후 1년 이내에 종전 농지를 팔았다면 기존 농지 양도일로부터 다시 1년 이내 재촌자경의 요건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농지오케이의 투자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과 세금1세대 2주택 비과세 특례] 1세대 1주택 ‘부득이한 사유’ 확인은…증명서류·주민등록표 등본 따라야 (0) | 2025.03.13 |
---|---|
청구인이 쟁점토지를 8년 이상 농작업의 2분의 1 이상을 자기의 노동력으로 직접 경작한 것으로 볼 수 있는지 여부 (1) | 2025.03.10 |
[서울고법 판례] 매매계약이 원시불능의 급부를 목적으로 하는 계약으로서 무효인 경우 사실상의 취득 자체가 존재하지 아니했다고 볼 수 있는지 (0) | 2025.03.08 |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농지 중 3년 이상 소유한 농지를 한국농어촌공사에 위탁하지 않고 제3자에게 무상사용하게 할 수 있는지 (0) | 2025.03.07 |
농지은행 농지위탁(농지빌려주기) (0)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