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수많은 날들을 살아 왔지만 아직도 알수 없고 제대로 못하는 것이 있다면
다른 사람과의 의사 소통이 아니었나 생각을 하고 있던 차에
부천대학 평생교육원에서 실시하는 안간관계 향상을 위한 소통 기술이라는 강좌를 수강신청하고
오늘이 그 첯날인지라 두근거리고 설레는 마음으로 첯수업을 받게 되었습니다
처음 만난 이지예 교수님은 환한 미소를 머금은 인상으로터 아주 편하게 대해 주셨고
참석한 수강생분들도 모두 긴장되고 기대된 모습이었으나 수업이 시작되면서
이내 모두 환한 얼굴들로 바뀌어가고 있었고 웬지 답답함에서 헤어나는듯 했습니다
끝날무렵 각자에게 느낌을 묻는데 나는 기대이상의 교육이고 아주 잘왔다고 대답을 하니
그건 느낌이 아니라 감정이라고 하더군요
실은 일정부분 답답하던 것이 해소된 시원함과 앞으로 교수님의 질문이나 수강생간의 토론 형식
으로 하는데 따른 부담감으로 인한 두려움이 있었다고 말하고 싶었는데... 입에선 다른말이...
오늘의 수업 내용을 정리해 보면 얼굴트기 마음트기로서
이름과 아니 프로그램참여동기및기대감 현재직업이나활동상황에 대한 소개가 있었고
앞으로 수강시에 지켜갈 집단규준 정하기 순서가 있었고
이어서 한국인에게 뿌리깊기 내재하고 있는 고유의 문화..
-정,한,체면,눈치,가족주의,연줄,동료의식- 등에 대한 설명과
한국식 화법으로서 말보다는 암암리 표현,이야기 형식의 대화법,대화시에 눈을 피하는 것,
감정이 우선하는 화법,간접적인 화법,인정에 호소하는 화법을 구사한다는 설명이 있었습니다
이어서 높은 자존감과 낮은 자존감의 특성이 있었는데
0. 낮은 자존감의 특징
- 삶의 초점을 남에게 맞추며 항상 타의에 의해 나의 삶은 조절된다는 믿음이 강하다
- 어려운 상황이 오면 자기 자신을 파괴하는 쪽으로 기우는 경향이 있다
- 대인관계 기술이 뒤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 난 아무리해도 되는 일이 없어, 나의 운은 여기까지야, 사회의 전반적인 문제를 운운하는 등
반복되는 실패를 나의 무능함,사회현상,운으로 돌리는 경향이 있다
0. 높은 자존감의 특징
- 미래 지향적이며 이미 만들어진 실수나 실패에 과다하게 집념으로 시간을 보내지 않는다
- 문제나 실망한 일이 있어도 그런 일을 해결하는 능력이 남다르다
- 감정이 격해진 상황에서도 감정 조절이 가능하다
- 개임적인 일로 받아 들이는게 적은 편이다
- 다른 사람을 대할때 어느 기준에 맞추지 않고
각 개인은 특특한 개성과 재능이 있다는 것을 받아 들일줄 아는 능력이 있다
- 다양한 면에서 자신감 있는 행동을 보인다
0. 높은 자존심을 만들어가는 방법
- 먼저 나의 자존감을 낮게 하는 요소들을 찿아서 적어 간다
- 나의 한계를 인정하고 받아 들여라
- 내가 만든 결정에 내가 책임을 진다
- 목표 설정후 전문성을 발달 시켜라
- 할수 없다는 생각에서 "난 할수 있다"는 태도로 바꾸어 나간다
0. 끝으로 끊임없이 자신을 개발하는 사람들은....
- 자신의 목표와 믿음이 분명 하다
- 신간 관리가 뛰어 나다
- 주도적인 삶을 이끌어 나간다
-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다
- 감정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논리적이며 문제가 생기면 문제 해결 능력이 뛰어나다
- 주위 사람들의 건강한 평가는 과감히 받아 들이고
도움도 되지 않고 사기를 저하시키는 부정적인 소문이나 사소한 문제들은 가볍게 넘긴다
자 이제 여기까지 다 보신 분들은
나는 누구일까 생각해 보세요
나의 장점 3가지 이상을 생각해 보세요
그럼 나는 누구인지 한마디로 생각해 보세요
다음으로 나의 의사소통 걸림돌이 되는 것을 생각해 보시고...
지금 이순간부터는
부정적인 말이나 생각을 버리고 항상 긍정적인 생각과 망르 하려고 노력 하십시요
'농지오케이의 횡설수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변 사람의 성향을 통해 행운의 시기를 아는 법- 행운의 시기를 알수있다 (0) | 2010.03.19 |
---|---|
35주년 결혼기념일에 얻은 손자의 귀여운 모습 (0) | 2010.03.09 |
성명 풀이 함 해보세요 - 성명수리학 각격 해설 (0) | 2010.01.18 |
결혼 후에도 대화하기 힘든 여자 유형 15가지 (0) | 2010.01.17 |
결혼후에도 대화하기 힘든 남자 유형 15가지 (0) | 2010.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