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로운 글 추천도서

[스크랩] 제7강 대운, 세운과 사주의 해석

농지오케이윤세영 2010. 6. 3. 18:35

제7강 대운, 세운과 사주의 해석


1. 四柱와 大運 歲運


[1] 사주와 운명

   

  □ 동양철학에서는 우주삼라만상의 운행질서를 음양오행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사람은 우주의 축소판으로서 출생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삶의 과정을 음양오행으로 나타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람이 태어날 때 그 사람의 운명적 부호가 바로 연월일시를 간지로 나타낸 사주라는 것이다. 따라서 이 사주를 잘 분석하면 그 사람의 성품과 습성은물론 장차 평생 운이 전개될 상황을 미리 예견해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마치자동차가 공장에서 만들어 질 때 여러 가지 성질 즉 속도, 주행거리, 자동차수명, 기타 자동차 성능을 자동차 설계도를 보면 알 수 있는 것과 같으며, 또한 그자동차가 고속도로로 가는 경우와 비포장도로로 가는 경우에 따라서 안락함이나 위험의 상태가 달리 나타나게 되는 것과 같다. 더 중요한 것은 그 자동차를 운전하는 운전수의 마음상태에 따라 인생이란 길을 어떻게 갈 것인지가 판가름 나는 것이다. 


 □ 그러므로 사람이 타고난 사주를 분석하면 그 사람의 기질과 성격이 나타나는데, 어떤 오행이 나에게 약이 되고 좋고, 또 어떤 오행은 병이 되기도 한다. 그래서 나에게 약이 되는 오행을 길신(용신, 희신)이라 하고 병이 되는 오행을 흉신(기신, 구신)이라 하는데, 이 길신과 흉신이 태어날 때부터 이미 정해져 있는 시간이라는 환경적 요소 즉 육십갑자와 어떠한 작용을 하는가를 분석해보면 대운은 물론 세운이나 월운 심지어 일진까지도 길흉여부를 알아 볼수 있다.


 □ 그러나 중요한 것은 비록 어떤 사람의 가는 길이 정해져 있다 하더라도 그 길을 가고 안 가고는 그 사람이 선택을 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그 사람이 태어난 기질과 성품의 나쁜 점을 고치지 않고 그냥 막 살아가면 타성에 의해 정해진 운명대로 살아가게 될 것이요, 자신의 나쁜 기질과 성품을 잘 알고 그것을 바르게 고치려는 노력을 하면서 인생을 살아가면 설령 나쁜 운이 도래되더라도 큰 흉함이 없이 무난히 그 길을 지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2] 사주와 길신과 흉신


  사주의 기본 원리는 중화에 있습니다. 어떤 사람의 사주가 음양오행이 골 고루 갖추어져 있고, 사주간 충극이 적고, 또 간지 상호간에도 상생이 많은 경우는 그 사람이 원만한 성품과 기질을 가지고 태어났으며, 일생을  큰 풍파 없이 무난하게 살 아 가게 됩니다. 만일 어떤 사람사주가 오행이 한쪽으로 편중되어 있고 또 사주간 충극이 많고, 간지 상호간에 상극이 많다면 그 사람의

성품과 기질이 편고하여 세상을 사는데 다툼이 많고 일생을 통하여 굴곡이 많은 삶을 살아가게 됩니다.


  그런데 사주팔자는 연월일시  네 기둥에 간지의 오행이 8가지가 됩니다. 이때 日干을 자신으로 보고 나머지가 7개의 오행이 되니 필연적으로 오행이 완전히 고르게 갖추어 질 수 없습니다. 즉 四柱가 아니고 五柱라면 오행이 고르게 갖추어 질 수 있지만 사주이므로 사람은 누구나 약간은 오행이 한쪽이 많거나 적게 될 수밖에 없습니다. 완전한 사람은 없다는 뜻이지요.

  그러나 비록 완전한 음양 오행의 중화를 이루지 못한다 하더라도 비교적 고르게 갖추어진 사주라면 좋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사주를 분석할 때 음양오행의 밸런스를 보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하여 사주속의 병이 되는 오행과 그 병을 치료할 약이 되는 오행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주 중 일간을 자신으로 보며, 이 일간을 중심으로 일간을 돕는 사주오행이 너무 많으면 그것이 병이 될 수 있으니, 그 힘을 제극하는 오행이 필요하며 그 오행을 용신이라 하며, 그 용신을 돕는 오행을 희신이라 한다. 또 일간을 충하거나 극하는 오행이 많으면 그것이 병이될 수 있으니, 이때는 일간을 돕는 오행이 용신이며, 그 용신을 돕는 오행이 희신이다. 그리고 이 용신을 극하는 오행이 구신이라 하며, 희신을 극하는 오행을 구신이라 한다.  

  이 용신과 희신을 길신이라 하고 기신과 구신을 흉신이라 한다 .


   결국 이 용신은 사주의 중화를 위해서 필요한 오행이다. 이것이 정해지면 희신, 기신, 구신이 따라서 정해지고 사주의 구성의 좋고 나쁨을 판별하는 기준이 된다. 사주에 흉신이 많으면 그 명이 흉하고, 길신이 잘 배치되어 있으면 좋은 명이라 하겠다.

  또 대운을 판별하는 잣대도 바로 용신이다. 그러므로 용신은 사주구성의 좋고 나쁨을 판별하고, 대운을 판별하는 잣대일 뿐만 아니라, 세운이나 월운 심지어 일진의 좋고 나쁨도 이 용신과의 관계로 판단하는 것이다.

  이 용신에 대한 공부는 너무 중요하므로 편을 별도로 하여 후술하기로 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다음 사주를 보기로 하자.


  [표 1]

 

1954년 11월 9일(음) 남/ 혈액형 A형 / 부산출생 / 대운: 순운 2세

음양

7운

6운

5운

4운

3운

2운

1운

대운

육친

비견

식신

상관

62

52

42

32

22

12

2세

나이

오행

습토

양토

오행

천간

천간

지지

지지

오행

습토

습토

습토

오행

육친

편관

정재

겁재

편재

대흉

대길

보통

길흉

   

   위 사주에서 자신인 癸水日이 11월 亥(水)월에 태어나고 時干의 癸水가 형제로 돕고 또 日支 巳와 時支 丑이 半合으로 金局을 이루어 일간을 또 生助하니 일간의 힘이 넘쳐흐른다. 그래서 이를 신강(身强)사주라 하겠다.

  그래서 이 사주는 넘쳐흐르는 水로 추운 것이 病이되니, 그 힘을 제하는

따뜻한 기운인 남방 午火가 用神이 되고 용신을 돕는 甲목이 희신(喜神)된다. 따라서 그 용신을 극하는 水가 기신(忌神)이요, 희신을 剋하는 金이 구신(仇神)이 된다.


  위 사주의 주인공은 타고난 본래 성품이 癸水일이라 조용하고 지혜로운 면이 있으나, 한편 타고난 월이 11월 亥水로 일간을 크게 도우니 자아의식이 아주 강해 남의 위에 서서 자신이 모든 주도권을 쥐려고 하는 기질이 있게 되었다.  그리하여 2,3대운은 잘 보냈으나, 경진 기신 대운(제 5운)에 자신의 나쁜 기질이 한꺼번에 쏟아져 가세가 추락하고 말았다. 


  [3] 사주와 대운 세운

    

     (1) 사주와 대운


  사람은 1년 사계절중 어느 때에 태어나게 마련인데, 위 [표 1]사례와 같이

만일 癸水 日에 태어난 사람은 자신을 癸水 즉 지극히 작은 물(이슬 같은)

로 보는데, 태어난 달이 따뜻한가, 뜨거운가, 서늘한가, 추운가에 따라 일간의

성질이 변화하게 된다. 그래서 태어난 달이 아주 중요하게 되며, 이 달의 기운 즉 오행을 시발점(入運)으로 하여 대운을 정한다.  하늘의 기운이 十干이므로 10년마다 운이 크게 바뀌게 된다. 위[표1]사례에서 보면 태어난 달을 乙亥를 입운으로 하여 제1운은 丙子 제2운은 丁丑 제3운은 戊寅 제4운은 己卯 제5운은 庚辰 제6운은 辛巳로 운이 계속 바뀌어가는 것을 말한다.


  위 사례와 같이 남자의 경우 태어난 해가 양간인 甲午라면 대운이 順運으로 흐르고, 반대로 위 사주가 여성이라면 대운이 逆運으로 흐른다. 즉 입운은 乙亥이나 제1운이 甲戌 제2운이 癸酉 제3운이 壬申 제4운이 辛未 제5운이 庚午 제6운이 己巳로 운이 바뀐다.

  또 남자의 사주 중  태어난 해가 음의 해라면 예를 들면 丁酉생이라면 대운이 역운(逆運)으로 되고, 여자가 음의 해에 태어나면 순운(順運)이 된다. 


   □ 대운의 길흉 판단

  대운의 길흉은 항상 그 사람의 사주의 용신을 잣대로 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즉 위 [표1] 사례에서 따뜻한 기운인 남방 午火가 用神이 되고 용신을 돕는 甲목이 희신(喜神)된다. 따라서 그 용신을 극하는 水가 기신(忌神)이요, 희신을 剋하는 金이 구신(仇神)이 된다. 그러므로 1대운은 水운으로 凶이 많았고 제3운, 4운이 동방 木으로 길하였는데 제5운에 가서 庚辰 運을 맞아 금이 극히 강하여 희신 목을 치니 大凶하였다.  대운의 길흉판단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종합 상담 실무 편에서 다루기로 한다.


 (2) 세운(歲運)과 대운(大運)

 

    세운이란 대운 10년 내에 있는 한해 한해를 말한다.




[표2]

7운

6운

5운

4운

3운

2운

1운

대운

62

52

42

32

22

12

2세

나이

습토

양토

오행

천간

지지

습토

습토

오행

대흉

대길

보통

길흉

    

 

[표3]  

나이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대운

辛巳

辛巳

辛巳

辛巳

辛巳

辛巳

辛巳

辛巳

辛巳

辛巳

壬午

壬午

천간

지지

조토

조토

습토

습토

습토

조토

보통

보통

보통


  - 세운 길흉의 잣대는 먼저 대운과 세운의 오행을 검토하되, 세운의 경우는 천간을 중시한다. 그 다음 용신과의 관계를 보아 길흉을 판단한다.

  - 위 표3에서 52세 乙酉년은 대운 辛巳와 비교해 보면 먼저 대운천간 辛金이 세운천간 乙木을 극하고 대운地支 巳火가 세운地支 유금과 半合하여 金局 을 이루니 희신인 乙木이 상하여 흉하다. [표1]에 의하면 乙木이 위 사주 주인공의 食神인데, 1년 동안 마음이 불편하여 직장을 옮기게 되었다. 더 자세한 사항은 실무 편에서 다루기로 한다.

    


  (3) 대운 세운의 심리


  운이 좋다는 것은 자신 사주의 길신(용신, 희신)이 힘을 얻고 반면에 흉신(기신, 구신)은 세력을 줄어든다는 뜻이다. 또 운이 나쁘다 것은 자신 사주의 길신(용신, 희신)이 힘을 잃고 반면에 흉신(기신,

 

    

 << 이하 강의~ 내용은  다음 주소 (개운선원)에 있습니다. 참고하세요.   >>

 

                            http://cafe.daum.net/buddhason

 

 

 

 

 

출처 : 새들의 쉼터
글쓴이 : 개운당 남광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