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도 운문산 일원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청도 운문산 일원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
◇ ‘91년부터 출입제한되면서 식생은 극상림(極相林)으로 천이과정 중이고, 각 분류군별 다양한 종들의 서식으로 안정적 피라미드 형식의 생태구조 - 노랑무늬붓꽃, 산작약, 솔나리, 수달, 삵, 하늘다람쥐, 담비, 벌매, 새홀리기, 말똥가 리, 쌍꼬리부전나비 등 멸종위기종을 포함하여 육상식물 605종, 포유류 24종, 조류 83 종 등 약 1,860종의 동·식물이 서식 ◇ 지정지(26.395㎢) 전부를 “핵심보전구역”으로 지정 - 운문산·가지산 등산객에 의한 훼손행위에 대처하고, 생태탐방로 조성 및 관찰대 설치 등을 통해 생태관광 활성화 도모 |
□ 환경부는 2010.9.9일자로 경북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운문산 일대(26.395㎢)를 「운문산 생
태·경관보전지역」으로 지정하였다.
○ 일부 지역(10.3㎢)은 청도군 군립공원(‘83.12.29 지정)으로 관리되고 있으나, 산지 전체가 방치
되어 등산객 등에 의한 침식 또는 훼손이 있어 생물다양성과 유전적 다양성 보고인 동 지
역에 대한 시급히 보전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어,
- 금번에 운문산·가지산 정상주변 및 북사면까지 “생태·경관보전지역”으로 통합·지정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동 지역에 대한 생태계 조사(‘07.11~’09.10)결과, 육상식물 605종, 포유류 24종, 조류 83종, 양서
·파충류 18종,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56종, 육상곤충 963종, 어류 15종 등 약 1,860종의 동·식
물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식물 II급으로 지정된 ‘산작약(Paeonia obovata Maxim.)’, ‘솔
나리(Lilium cernuum Komarov)’, ‘노랑무늬붓꽃(Iris odaesanensis Y. Lee)’이 발견되었고,
○ 멸종위기 야생동물 Ⅰ급이며 천연기념물 330호인 수달과 Ⅱ급인 삵, 하늘다람쥐, 담비,
벌매, 말똥가리, 새홀리기, 쌍꼬리부전나비와 천연기념물인 원앙, 붉은배새매, 황조롱이,
두견이, 소쩍새, 큰소쩍새, 솔부엉이가 서식하고 있으며,
<참고 : 운문산 지역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현황>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
식물 |
동물 |
Ⅰ급 |
- |
수달 |
Ⅱ급 |
산작약, 솔나리, 노랑무늬붓꽃 |
삵, 담비, 하늘다람쥐, 말똥가리, 새홀리기, 벌매, 쌍꼬리부전나비 |
○ 또한, 환경부 지정 국외반출입 규제대상 생물종인 미카도애꽃벌, 유리창나비가 서식하
고, 청정환경을 상징하는 애반딧불이(Luciola lateralis), 파파리반딧불이, 늦반디불이과,
한국고유종인 쉬리, 긴몰개, 칼납자루, 참갈겨니, 왕종개, 수수미꾸리, 미유기, 자가사리, 꺽
지, 동사리 10종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이번 생태·경관보전지역 지정에 따라 관리청인 대구지방환경청은 이 지역에 대한 보전과 현명
한 이용방안이 반영된 「운문산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리기본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 운문사 “조사보고서”를 토대로 생태계 보전대책이 마련되면 주기적 모니터링 및 위법행위
단속 등을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토지 등에 대한 매수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 또한 청도군의 “생태·문화탐방로 조성계획”(’10.4~, 실시설계 용역중)에 따라 관찰데크, 방
문객센터, 전망대 등의 설치를 통해 동 지역의 생태관광을 활성화해 나갈 예정이다.
□ 앞으로 환경부는 전국에 걸쳐 생물다양성이 풍부하거나 경관가치가 높은 지역을 보전지역으로
신규 지정함으로써 전체 생태·경관보전지역 면적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아울러 해당지역
자연환경의 보전과 가치활용(생태관광지 등)의 조화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붙임 : 1. 운문산 생태·경관보전지역 확대지정 보고
2. 운문산 생태·경관보전지역 지형도
3. 운문산 일원 자연생태 현황 및 특징
| 환경부 | 등록일 : 2010.09.09
'부동산 소식 상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0차 부동산시장점검회의 개최- 8.29대책 후속조치 9월 중 완료 - (0) | 2010.09.10 |
---|---|
[스크랩] 안양 만안·부천 소사 뉴타운 사업 탄력받는다 (0) | 2010.09.09 |
GTX 추진 확정! 경기도 끌고 정부가 민다 --정부, KTX와 연계 GTX건설 적극지원…2012년 착공 (0) | 2010.09.08 |
영종도~청라 연결 '제3연륙교'… 연내 조기착공 가시화 --LH 도시계획입안·사업계획서 인천경제청 제출 (0) | 2010.09.07 |
[스크랩] IMF 때도 움켜쥐고 있었는데… ‘땅부자’ 롯데 땅 파는 까닭 (0) | 2010.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