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현안분석] 대내외 여건 변화가 국내 소비자물가에 미친 영향
출처
http://www.kdi.re.kr/news/coverage_view.jsp?idx=10570&pp=10&pg=1&gubun=03&media=poplink
[KDI 현안분석] 대내외 여건 변화가 국내 소비자물가에 미친 영향
천소라 2016/12/06
대내외 여건 변화가 국내 소비자물가에 미친 영향천소라 거시경제연구부 연구위원
요약과 시사점
- □ 최근의 물가상승률 하락은 국내 총수요의 부진과 함께 대외 여건 변화에도 상당 부분 영향을 받은 것으로 추정되는 한편, 내년에도 소비자물가는 낮은 상승세를 지속할 전망
- 실증분석 결과, 소비자물가의 변동은 국내 총수요압력 충격에 가장 큰 영향을 받게 되나, 대외 요인인 국제유가 및 세계 총수요압력 충격도 국내 물가상승세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
- 특히, 2015년 이후의 낮은 물가상승률은 대외 요인 변화에 의해 주도된 것으로 나타나, 최근의 국내 경기부진과 저물가가 주로 대외 요인에 기인할 가능성을 시사
- 한편, 국내외 거시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내년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 초반에 머물면서 여전히 물가안정목표 범위를 하회할 것으로 전망됨.
- □ 따라서 향후 통화정책은 완화적인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필요한 경우 경기 및 물가 하방압력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
- 유가가 점차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나, 최근 국내 경기가 둔화되는 가운데 세계경제도 미국의 정책 불확실성 등 하방위험에 노출됨에 따라 대내외 수요가 약화되면서 국내 물가상승세를 제약할 가능성이 높음.
- 아울러 수년간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를 하회하는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통화당국이 향후 물가상승세 및 경기 상황에 따라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물가상승을 견인할 필요
- 향후 국내 장기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이에 상응하는 정도로 물가상승세가 확대되지 못할 경우 실질금리가 상승하며 경기 전반이 위축될 수 있으므로 국내 통화정책은 보다 완화적일 필요가 있음.
- 물가상승률이 물가안정목표에 안착할 경우 자산 가격 하락압력을 완충하여 부동산경기 연착륙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
* 세부내용 첨부파일 참조
담당자: 천소라 KDI 거시경제연구부 연구위원(044-550-4042, sora@kdi.re.kr)
'재테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 한국 부자 보고서 (0) | 2017.08.01 |
---|---|
당신은 부자인가요?” 49%는 “죽었다 깨도 부자는 못 될 거예요” (0) | 2017.07.21 |
브라질·英처럼···혼돈의 한국, 글로벌 환투기 세력 타깃되나 (0) | 2016.11.02 |
연금저축 월평균 28만원 수령…국민연금 합쳐도 최소생활비 안돼 (0) | 2016.10.17 |
"부부에 필요한 노후생활비 평균 217만8천원 예상" - 40대 247만원, 60대 이상 178만원으로 예상노후준비 (0) | 2016.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