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오케이의 횡설수설

결혼기념일(結婚記念日), 금혼식 金婚式/Golden wedding

농지오케이윤세영 2025. 2. 12. 11:21

결혼기념일(結婚記念日), 금혼식 金婚式/Golden wedding

 

 

갑자기 웬 뜬금없이 결혼기념일은?

어제 정월 열나흩날이 결혼 50주년이었다.

50여년전 젖살도 빠지지 않은 뽀오얀 처자와

새벽 시간대인 묘시에(卯 (묘) 05시 ~ 07시 토끼 )

사모관대를 하고 활옷에 화관을 쓴 신부와 백년가약을 맺은 날이다.

 

20대 꽃다운 청춘은 어디로 가고

70대 건강 챙기는 나이가 되도록

서로 다투기도 하고 의지하면 지나온 세월

그래도 당신이 있어서 늘 힘이 되었고

오늘 여기까지 잘 살아 올수 있었다오.

남은 날이 얼마인지 모르지만 건강하게 아웅다웅 싸우면서 살아갑시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금혼식 金婚式/Golden wedding

결혼 50주년이 되는 결혼 기념일을 금혼식이라 한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19세기 영국에서 시작되었으며, 부부는 금으로 된 물건을 선물로 주고받는다. 은혼식과 함께 대표적인 결혼 기념식이다.

 

금혼식을 할 수 있는 나이는 최소 68세가 된다.[1] 이 정도만 되어도 노인이며, 30세에 결혼을 할 경우 80세가 된다. 그 탓에 한쪽이(여자 쪽이 좀더 평균수명이 길기에 보통 남자.) 먼저 세상을 떠나 금혼식을 맞이하지 못하고 결혼 생활이 끝나버리는 부부도 상당히 보인다. 현재는 보통 70대에 금혼식을 하며 2025년 기준 금혼식을 하는 사람은 평균적으로 여자는 1950~1953년생, 남자는 1947~1950년생 정도다. 남자의 경우 거의 평균 수명에 다다른 상태이기 때문에 금혼식을 한다면 부부가 건강하게 오래 산 것으로 볼 수 있다. 심지어 이혼 후 재혼의 경우 30대, 심지어 40대 이후도 있어 더 힘들어진다. 이쯤 되면 자식들도 40대이며, 학령기의 손주들도 대부분 있다. 하지만 평균 수명의 증가로 현재는 금혼식까지 두명 다 살아있는 경우도 많다.

 

- 나무위키namu.wiki›

 

 

결혼기념일(結婚記念日)

 

역사

결혼기념일은 주로 19세기 서구의 그리스도교 국가에서 매년 결혼한 날에 축하예배를 하던 것에서 비롯되었다. 처음에는 결혼 5주년, 15주년, 25주년, 50주년, 60주년 정도를 축하하였으나, 점차 확대되어 1주년, 10주년, 20주년, 30주년, 40주년, 45주년 등의 기념일이 생겨났으며, 최근에는 거의 해마다 결혼기념일을 챙기는 사람이 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결혼 50주년을 축하하는 자리인 금혼식金婚式과 결혼 60주년을 축하하는 자리인 60주년 회혼례回婚禮가 가장 성행하고 있다.

 

내용

부부가 결혼한 날을 축하하는 결혼기념일은 부부는 물론 가족들도 함께 축하를 해 주는 자리이다. 결혼 후 1년이 되어서 맞는 결혼 1주년은 지혼식紙婚式이라고 하는데, 이때 부부는 서로에게 종이로 된 선물을 나누어 준다. 예를 들어 책이나 그림 등을 선물하며 서로에게 사랑의 편지를 나누기도 한다. 연수가 쌓여 결혼 25주년인 은혼銀婚, 30주년인 진주혼眞珠婚, 35주년인 산호혼珊瑚婚, 40주년인 녹옥혼綠玉婚, 45주년인 홍옥혼紅玉婚, 50주년인 금혼金婚 등은 모두 보석의 이름이 붙었는데, 그때에는 이름에 맞는 보석을 선물하며 함께 살아온 것을 축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결혼 50주년인 금혼식과 결혼 60주년을 축하하는 자리인 회혼례가 가장 많이 행해지고 있다. 특히 결혼해서 50년을 함께 산것을 축하하는 금혼식은 25주년 기념일인 은혼식과 함께 대표적인 결혼기념일 행사이다. 금혼식 때는 결혼식에 참석했던 일가친지 및 지인을 불러 잔치를 하고 신랑과 신부는 서로에게 순금으로 된 물건이나 보석을 선물로 건넨다. 오늘날은 도별, 시별, 구청별로, 또는 노인회에서 ‘장수부부 금혼식’이라고 해서 해마다 한 번씩 잔치를 무료로 치러주고, 잔치 후에 관광 명승지 등을 유람하는 등의 행사를 하고 있다. 또한, 결혼 60주년을 축하하는 자리인 회혼례는 자녀가 그 부모를 위해 성대한 잔치를 치르는데, 이는 유교를 신봉하던 전통사회에서 효를 실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되었다.

 

특징 및 의의

결혼기념일은 혼자가 아니라 부부로서 함께한 세월을 기념하는 만큼, 부부뿐만 아니라 가족 모두가 축하해 주어야 하는 자리이며, 이들 부부가 해로하며 잘 살 수 있도록 좋은 덕담과 함께 각 시기에 따른 선물을 하는 것이 좋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folkency.nfm.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