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주택을 구입하는데는 여러 가지 목적이 있고 생각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어느것이 맞다고
생각할수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오늘 여기서 이야기 하고자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아니 많은 분들이 생각하는
그런 전원주택을 마
련하는데 있어 효과적인 투자법이랄까
좀더 좋은 조건으로 구입하는 방법이랄까
이런데 대하여 말해 보고자 합니다
일반적인 전원주택 마련 방법으로는
시골에 내려가서 구옥이 있는 대지나 전원주택으로 지어진 집을 구입하는 개별
형 전원주택 마련
방법이 있고
또 한가지는 시행사들이 만들어 놓은 전원주택 단지 부지를 구입하여 전원주택
을 지어서 들어가
는 방법이 있습니다
물론 전원주택단지에도 펜션형이나 거주형 동호회등 여러 유형이 있지만..
다음에는 구입시기에 따라서 분류를 해 보겠습니다
정년퇴직후 아니면 노후에 막연히 가고자하여 지금 현재 시골에다 부지를 마련
하는 사람들이 있
습니다
또는 현재 다른곳에 투자를 하거나 자금을 모아서 이주시에 전원주택부지나 전
원주택을 마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전원주택의 정착지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고향으로 낙향하여 정착하는 유형이 있고
산세수려한 경치가 좋은 곳에서 유유자적하고자 하는 유형도 있고
용돈이라도 벌면서 전원에 살려는 그런분들도 잇고
그동안 못이룬 꿈을 실현하거나 더 갈고 닦으려고 시골에 묻혀서 해보려는 예
술인등 전문가들도
있고
자기의 취미를 살리면서 전원에 묻히려는 그런 유형도 있고
그 사유 또한 다양하기만 합니다
그럼 여기서 동일 지역에서 전원주택 부지를 마련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 보
고자 합니다
판단은 여러분의 몫입니다
여기 많은 사람들이 전원주택지로 선호하는 양평군 용문면의 어느 마을을
표본으로 하여 작성해 보았습니다
다만 여기에서 대지나 전원주택부지는 누구나 구입할수 있으나
농지는 다소 구입에 제약이 따를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원주택이라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현지에 이주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면 그리 틀린 계산
법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 전원주택마련 방법 비교표 (양평군 용문면)
구 분 |
일반적인 구입 방법 |
농지.임야 구입 방법 |
구입면적 |
대지 250평 (평균대지면적임) |
논 600 평 |
평당구입가격 |
40 만원 |
15 만원 |
구 입 가 격 |
9000 만원 |
9000 만원 |
구 입 결 과 |
대지 250 평
|
대지 250 평
농지 350 평 |
* 건물은 신축하는 것으로 동일하므로 산정하지 아니하였고
농지를 구입하여 농지전용하는 것은 현지 거주하며 250평을 농지전용신고
로 하는 경우로 하였슴
* 물론 현지의 농가주택을 구입하는 경우는 이 표에서와 같이 적용하기는 어렵
습니다
( 건물신축비가 없으니까 - 그러나 보수비도 만만치 않고 불편함도 만만치 않
다는 것도
불리한 면이이까요)
다음은 구입시기에 대하여 검토해 보렵니다
지금이 좋을까
나중이 좋을까
현재 투자할 돈이 있다면 주변에서 투자하거나 이용하여 돈을 키워나가시고 현
지에 정착하려 할
때 구입하라고 권하고 싶습니다
지금 이사회는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지금의 전원주택지역이나 건물 양식과 앞으로 5년 10년후의 트렌드가
변할 것이기 때문입
니다
그리고 한번 투자하면 그 지역을 바꾸기란 용이하지 않습니다
좋은 곳은 많습니다
그러나 한번 투자하면 그곳을 벗어나 다시 투자한다는 것은 웬만해선 불가합니
다
그리고 정착하려 할때까지 죽어라고 좋은곳 다니면서 보다가 정말 자기 취향이
나 목적이나 모든
조건에 맞는 곳에 투자하면 됩니다
또 하나는 수도권 아니 서울에서 투자하는 이익이 더 큽니다
서울이나 주소권의 부동산은 물론 주식등 투자 이익이 큽니다
시골의 투자이익은 그리 높지 않습니다
물론 투자 물건에 따라 달라지지만 대부분은 그러 합니다
지금 투자한 돈이면 주변에서 돈을 키우다가 10년후에 정착할곳에 간다면 더
좋은 곳 더좋은 위치
에 더 많은 면적이나 규모를 구입할수 있을 겁니다
전원주택 구입(마련)시 유의사항
- 귀농형등 직접 현장에 적응할수 있는 자세로 접근하여여 함
- 놀러가서 또는 친구집에 잠시 다녀와서등 충동형 구입은 절대 금물
- 전원형,별장형 보다는 펜션,민박,까페,음식점,주말농장등 수익성도 있고
사람도 접할수 있어야 함( 그렇지 않을 경우 대부분 실패함)
- 전원형,별장형은 친척,친구,직장동료등 공동구입하여 활용함이 실용적임
- 가급적 현지에서 직접 살아보고 결정하십시오
전원주택지 구입 요령
1) 서울 또는 부도심의 진입이 1시간 정도 소요되는 지역
2) 배산 임수형에 도로가 접한곳
3) 가급적 논 - 밭- 임야 - 나대지 - 구옥건부지 - 전원주택단지 순으로
구입하되 농지는 경지정리가 안된 곳
4) 운영 구상에 따른 투자
- 귀농형 전원 주택 마련(60세 이하인 경우 추천)
. 과수원이나 농장형 위주의 귀농
. 산림경영이나 조림등 육림을 위한 귀농
. 장뇌삼,더덕등 특수 영농을 위한 귀농
- 전원형 주택 마련 : 한적한 농촌으로서
현지인들과 유대가 이루어 질수 있는 곳...
- 펜션,민박을 겸한 투자시 : 관광지나 유원지등 주변으로서
돈벌이 보다는 사람들을 만나는데의미 부여...
- 기존 소도읍에서 멀지 않은 곳에 투자
- 70여세가 되면 복합도심주택으로 회귀 할수 있도록
투자비용이 적게 드는곳이나
투자 비용을 충분히 환금받을수 있는곳으로 선정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의 농지 투자 어떻게 해야 하나 (0) | 2007.10.29 |
---|---|
전원주택 잘못 투자하면 크게 후회 할수도 (0) | 2007.10.28 |
꿩도 먹고 알도 먹는 전원생활하기 (0) | 2007.10.08 |
전원주택 전원생활의 허상에 대하여 (0) | 2007.10.05 |
부동산 투자는 규제나 행위제한이 심한곳을 노려라 (0) | 2007.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