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 미국 금리인상과 부동산 투자재테크
부동산투자재테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부동산 시장은 생물이다.
각종 변수에 의거 요동을 치고 있다.
이번 여름을 기억 하시나요?
폭염이 5월에서 8월까지 이어진 길고 뜨거운 여름이었다.
그런가하면 어느해에는 더위가 짧게 지나간다.
부동산시장의 활황기도 이와 같다.
어느해에나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오고 가고
여름은 뜨겁지만 짧기도 하고 길기도 하다.
어느 해에나 오는 여름이지만 모두가 덥고 긴것도 아니고
일정한 기간이 있는것도 아니다.
부동산시장 경기변동도 이와 비슷하다
짧게는 3~5년 또는 10여년을 주기로 하기도 하고
길게는 17~8년에서 30년을 주기로 회복기 상승기 하락기 침체기를 반복하고 있다.
오늘은 미국 금리 인상이 우리 부동산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나는 세계 경제 잘 모른다.
따라서 그동안의 자료를 가지고 우리 회원들과 나눈 이야기를 정리해 올려 본다.
반드시 이렇다는 것은 아니니 오해없기 바라며
그저 한사람의 의견으로 부동산 투자에 참고하였으면 하는 바램이다.
그동안 2차례의 위기를 맞았던
IMF와 금융위기에서의 과거 사례를 살펴보면
미국이 1~2년간 금리를 올리고 2년여 후에 우리에게는 위기가 왔다.
이번에는 2015~2018년까지 금리를 올리겠다고 한다.
그렇다면 2~3년후 우리에게 또 다시 위기가 오지 않을까 싶다.
물론 금리인상의 폭이 다소 적을것 같고
우리의 국민소득이 당시보다 높아서 그 위기의 충격은 다소 낮으리라고 본다.
하지만 거센 파도가 밀려 올 것이니 잘 대비해야 하겠다는 것이다.
여기에다가 중국의 경제성장 하방이나
북한과의 관계 등은 물론이고
주변 열강들의 대치상태가 120여년전과 비슷한
우리에게는 결코 도움되지 않는 상황이다.
아래 자료에서 그동안 부동산 호시절도 보고
역대 대통령 선거이후 부동산 경기도 살펴 보면서
부동산투자에 참고를 하였으면 한다,
결국 부동산투자를 하고자 한다면
대출을 줄이고 건전한 자산 규모를 유지해야 할것이다.
미국 금리인상이나 주변 여건
우리의 정치 경제 상황등을 볼 때
향후 몇년간은 그리 좋은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보수적인 투자가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다가 바닥이다 싶을때에 레버리지를 통한 적극적인 투자로
향후 부동산 상승기에 돈을 벌어서 잘 살기 바란다.
농지오케이 윤세영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금 부동산 투자를 해야 할까? 말아야 할까? - 농지오케이 윤세영의 투자 이야기 (0) | 2016.09.12 |
---|---|
농지 투자의 첫걸음 농지취득하는 방법 - 농지오케이윤세영의 투자이야기 (0) | 2016.09.05 |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 복비(중개수수료)와 부동산 잘 사고 파는 방법 (0) | 2016.08.22 |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 농지투자 세테크- 양도소득세 (0) | 2016.08.15 |
농지구입(부동산투자)은 왜 해야 하나? *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0) | 2016.08.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