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같이 부자되기
http://cafe.naver.com/dabujadl.cafe
농지오케이 윤세영의 농지투자 OK 농지(부동산) 구입은 어디에 해야 하나?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야★
부동산투자재테크는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이런저런 사유로 부동산과 함께 살아갑니다. 사는 집 그리고 직장이나 사업장 등 부동산과 공생을 하게 되고 주거용에서 사업용까지 부동산을 거래하며 살아가게 됩니다. 쉽게 접하는 주거용과 사업용 부동산보다도 부동산 투자의 꽃은 땅 투자라 합니다만 쉽게 접근하기 힘들고 땅 투자의 꽃인 농지투자는 더더욱 생소하고 낯설기만 합니다. 그럼 농지투자! 그 중 구입하는 단계를 6하 원칙으로 접근해 보겠습니다. 이번에는 그 세번째로 농지구입을 어디에다 할 것인가? 에 대하여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한마디로 정의를 내리자면 이미 당신은 어디에 할지 마음으로 정하고 고민하고 있어요. 어차피 마음 먹은 그곳이 투자처가 될 수 있어요. 다만 전문가의 의견에 따라서 달라 질 수는 있겠지요. 누구 말마따나 돈 되는 곳 이슈가 있는 곳에다 하면 되겠지요. 농사를 지으려고 한다면 농사짓기 편하고 싼 곳 산림을 가꾸려고 한다면 육림이 쉽고 싸고 넓은 곳, 장사를 하려고 한다면 사람이 많이 모이고 상권이 성숙된 곳, 공장을 하기 원한다면 인프라가 갖추어져 있고 거래처도 가깝고 교통이 편리한 곳 이미 투자처는 어느 정도 정해져 있다고 보는게 맞아요. 다만 여기서 이런 잔소리 들으려는게 아니고 돈 될만한 투자부동산을 어디에 해야 하느냐? 이게 누구나 가지고 있는 궁금증이고 바라는 답이겠지요. 이 또한 답은 정해져 있어요. 우선 사람이 많이 모이는곳 앞으로 많이 모여 들곳 이곳이면 부동산은 수요가 늘면서 가격이 오르겠지요. 그걸 누가 모르느냐고 하시겠지요. 나두 답답해요. 사람들이 한곳에 가만히 안 있고 자꾸 움직이니까 여기다 싶으면 저리로 가서 있고 저기다 싶으면 요리로 모여 들고 말이지요. 정부의 정책이나 사회적 변경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움직인다는 겁니다. 이걸 글로 또는 지금 상황으로 콕 짚어 말할 수도 없고 난 그런 초능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아요. 자 그럼 지난 일들을 돌아 보자구요. 땅값이 폭등한 지역들을... 누구나 말하는 명동, 그리고 논밭이 계획도시로 바뀐 강남 그리고 심심치 않게 나오는 행정부처가 이전하는 행정도시 최근 폭발적으로 지방 부동산을 올려 놓았던 혁신도시 언제나 부동산시장의 눈길이 가는 산업단지나 대기업 이전지역 들 이제 무엇이 생각 나시는가요. 지나간 세월 땅값이 무척이나 뛰었던 곳이란걸.... 그렇지만 농사지을 사람이 명동 땅 거저 주어도 필요가 없어요. 관개시설이 미비해서 농사짓기에는 부적합하기 때문이지요. 전원주택은 ? 역시 부적합한 땅이지요. 즉 자기가 사용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서 적합한 지역이 달라지는 겁니다. 그러므로 단편적으로 어디가 좋다 나쁘다 말할 수는 없습니다. 그 목적에 적합해야만 좋은 것이니까요. 다시한번 돈되는 곳에다 투자를 하자면 어디에 해야 할까? 사람이 늘어나는 곳 앞으로 사람들이 몰려 올 곳 그걸 어떻게 아느냐? 그러니까 영원한 숙제고 이걸 잘 풀어야 돈을 버는 것 아니겠습니까? 다른 사람이 이 숙제를 다해서 알려 주길 바란다면 나는 2등이지요. 그렇다고 내가 이 숙제를 풀자고 내가 하는 일 다 버리고 그 숙제 할수는 없는거고 전문가들이 풀어서 해설을 해주면 내가 정답을 찾아서 투자를 해야 하겠지요. 그러니 그 전문가들이 말하는걸 알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야만 합니다. 자 그럼 어느 지역 어디가 투자처가 될 것인가? 아직은 미개발지이지만 개발이 가능한 지역 그것도 대형 택지개발이나 신도시, 산업단지 등이 이루어지면 더 좋겠지요. 또는 작은 개발 호재라도 주변에 있는곳에서 찾아 보자고요. 왜 부동산 투자에서는 세금도 고려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멀리가서 비사업용으로 30~50% 세금을 내는것보다는 가까운 곳에서 비과세나 감면 일반세율로 0~35%정도의 세금을 내는게 훨씬 수익률이 높으니까요. 물론 대박이 나는 곳이라면 세금 많이 내도 하겠지만 그런게 어디 그리 많은 가요. 그리고 내복에 그런게 올수 있으려나.... 자 오늘의 결론 부동산투자 어디에 해야 하나요? 내가 잘아는 주변에 하라. 미래에 개발이 예상되는 곳에다 해라. 미래에 수요 용도가 다양하고 수요층이 두터운곳에다 하라. 세테크를 고려해서 절세 가능한곳에다 해라. 실수요자라면 자기가 원하는 목적에 부합된 지역에 해라. 여기서 다 풀지 못하는 아쉬움이 많습니다. 헛소리 하고 있다고 나무라지 마시고 관심을 가지고 보면 보일겁니다. 농지투자 아니 땅 투자는 도대체 어디에다 해야 하는가? 한마디로 잘 쓸 수 있고 돈도 되는 그런곳에다 해야 합니다. 바로 그곳은 내가 생각하고 있는 지역 그 땅입니다. 우리는 앞에서 누가,언제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알아 보았고 앞으로 무엇을, 어떻게,왜 해야만 하는지에 대하여 이야기 하고 농지투자가 정말 그렇게 돈이 되는지에 대하여 사례등으로 씀드리고자 합니다. 농지오케이 윤세영
|
'부동산투자와 부자의법칙' '농지투자 OK' '실무지침서' - 농지오케이의 부동산재테크 시리즈 구입 방법 |
http://cafe.naver.com/dabujadl/40228
농지오케이의 부동산 투자 재테크 시리즈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농지 구입은 어떻게 해야 하나?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0) | 2016.08.01 |
---|---|
농지(부동산) 구입은 무엇 때문에 하는가? -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0) | 2016.07.25 |
농지구입은 언제 해야 하나? ♧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 (0) | 2016.07.11 |
농지 투자는 누가 해야 하는가?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0) | 2016.07.05 |
농지오케이의 투자이야기 - 부동산 투자는 과연 투기인가? (0) | 2016.06.28 |